2025/04 12

백내장이란? (Cataract)

백내장이란, 눈 안의 수정체(렌즈)가 혼탁해져서 빛이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고 시야가 흐려지는 질환입니다. 마치 김 서린 유리창을 통해 세상을 보는 것처럼, 시력이 점점 흐려지고 뿌옇게 변하는 것이 특징이에요, 백내장은 눈 속의 수정체가 투명성을 잃고 혼탁해지는 질환으로, 시력 저하를 유발합니다 수정체란? 카메라의 렌즈처럼 눈으로 들어온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하는 투명한 구조물입니다, 원래는 맑고 투명하지만, 노화나 다른 원인에 의해 단백질 변성이 생기면서 뿌옇게 흐려지게 됩니다 ◈ 백내장의 주요 원인 1. 노화 (노인성 백내장) : 가장 흔한 원인, 50~60대 이후 자연스럽게 수정체의 단백질이 변성되고 혼탁해짐, 나이가 들수록 발생률 증가 2. 전신 질환 당뇨병: 높은 혈당이 수..

안구건조증이란 (Dry Eye Syndrome)

안구건조증이란, 눈물의 양이 부족하거나 질이 나빠서 눈이 건조하고 불편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눈물은 단순한 ‘물’이 아니라, 수성(물), 점액, 지방층으로 이루어진 눈물막으로 눈 표면을 보호하고 시력을 안정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구표면을 적셔주는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막이 쉽게 증발하여 눈이 건조하고, 자극감이나 시야 흐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눈의 질환입니다. ◈ 안구건조증의 주요증상1. 건조감 : 눈이 뻑뻑하고 마른 느낌이며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나 컴퓨터 오래 쓴 후 더 심함2. 이물감 : 눈에 모래나 먼지가 들어간 듯한 느낌이며 눈꺼풀을 깜빡일 때 뭔가 걸리는 듯함3. 시림/통증 : 바람을 맞거나 햇빛을 보면 눈이 시리거나 아픔, 찌릿하거나 화끈거리는 느낌4. 눈물 과다 분비 : ..

뇌종양(brain tumor)이란?

뇌종양(brain tumor)은 뇌 안에서 비정상적인 세포가 과도하게 증식해서 생긴 덩어리(종양)를 말합니다. ◈ 뇌종양의 주요원인 및 위험요인 1. 유전적 요인 : 일부 뇌종양은 유전 질환과 관련되어 발생 - 신경섬유종증 (Neurofibromatosis type 1, 2), 리프라우메니 증후군 (Li-Fraumeni syndrome), 결절경화증 (Tuberous sclerosis) 2. 방사선 노출 - 고용량의 두부 방사선 치료를 과거에 받은 경우 - 의료용 방사선, 특히 소아기에 노출된 경우 위험 증가 3. 면역억제 상태 -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복용자 - HIV/AIDS 환자 - 이런 상태에선 림프종 등 일부 뇌종양 발생률 증가 4. 암의 전이 - 다른 부위에서 생긴 암(예: 폐암, 유방암)..

뇌출혈이란?

뇌출혈이란?뇌혈관이 파열되면서 뇌 속에 출혈이 생기는 상태, 피가 뇌조직 안이나 주위 공간에 퍼지며 뇌압 상승, 뇌세포 압박 및 손상이 발생합니다.  ◈ 뇌출혈의 주요원인 고혈압 (고혈압성 뇌출혈) : 가장 흔한 원인. 고혈압이 오래 지속되면 뇌혈관 벽이 약해지며 출혈 발생 뇌동맥류 파열 : 혈관이 풍선처럼 부풀었다가 터지는 경우 → 지주막하출혈 유발 혈관 기형 (AVM, 동정맥 기형) : 선천적 이상혈관이 터지며 출혈 발생. 젊은 환자에서도 가능 두부 외상 (외상성 뇌출혈) : 사고나 낙상 등으로 머리를 다치면서 출혈 생김 (노인, 음주 후 낙상 시 흔함) 항응고제/항혈소판제 사용 : 와파린, NOAC, 아스피린 등 → 출혈 위험 증가 (혈액응고 억제됨) 혈액질환/응고장애 :  혈우병, 백혈병, 간질환..

카테고리 없음 2025.04.14

뇌경색(腦梗塞, cerebral infarction)

뇌경색이란? 뇌혈관이 막혀서 뇌에 혈액과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그 부분의 뇌 조직이 괴사(죽음) 되는 질환입니다 쉽게 말해, 뇌에 산소와 영양분이 끊겨서 뇌세포가 죽는 것이죠  ◈ 뇌경색의 주요 원인 1. 죽상경화증 (동맥경화증) - 혈관 벽에 지방, 콜레스테롤 등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 - 가장 흔한 원인 - 관련 위험요소: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흡연2. 심장질환 (심장성 색전증) 심장에서 생긴 혈전(피떡)이 뇌혈관으로 이동해 혈관을 막는 것 주된 질환: - 심방세동 (부정맥) - 심근경색, 심장판막증 - 갑작스럽고 심한 뇌경색을 일으킬 수 있음3. 소혈관 폐색 (열공성 뇌경색) - 뇌 속 깊은 작은 혈관이 막히는 경우 - 주로 고혈압이나 당뇨병 때문에 혈관이 손상되어 발생4. 과응고..

자궁경부암이란?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생기는 악성 종양(암)입니다. 여성에게서 발생하는 주요 암 중 하나이며,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 가능성이 매우 높은 암입니다. 자궁경부는 자궁과 질을 연결하는 부분이며 자궁경부의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자라면서 암으로 발전하는 것이 자궁경부암입니다.  ◈ 자궁경부암의 원인 및 요인 1. HPV 감염 (가장 주요한 원인) - 자궁경부암 환자의 99% 이상이 HPV 감염과 관련이 있습니다. - 특히 HPV 16형, 18형은 고위험 바이러스로, 자궁경부암의 약 70%를 차지합니다. - HPV는 성접촉으로 전염되며, 감염된 후에도 대부분은 자연적으로 사라지지만, 일부는 지속 감염되어 암으로 발전합니다. 2. 성생활 관련 요인 - 이른 나이의 성경험 - 성 파트너가 많은 경우 - ..

식중독이란?

식중독(食中毒)은 세균, 바이러스, 독소, 기생충 등 유해 물질이 포함된 음식을 섭취한 후 발생하는 복통, 구토, 설사, 발열 등의 소화기 증상을 말합니다. ◈ 식중독의 원인1. 세균성 식중독 : 세균이 음식에서 번식하면서 발생 - 살모넬라균 : 덜 익힌 달걀, 닭고기 - 장염 비브리오균 : 생선회, 해산물 - 대장균(O157) : 덜 익힌 고기, 오염된 채소 - 리스테리아: 냉장 보관된 식품, 햄, 치즈  2. 바이러스성 식중독 : 주로 겨울에 많이 발생하고 전염성 - 노로바이러스: 오염된 물, 굴, 샐러드 - 로타바이러스: 소아에서 흔하며 장염 유발  3. 독소형 식중독 : 세균은 죽었더라도 남긴 독소 때문에 발생 - 황색포도상구균: 도시락, 샌드위치 등에서 발견 - 보툴리누스균: 통조림, 햄, 진공..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는 정신적 외상(트라우마)을 경험한 후 생기는 심리적인 반응 장애입니다, 보통 사람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충격적인 사건을 겪은 뒤 그 기억과 감정이 지속적으로 되살아나면서 일상에 큰 영향을 주는 상태를 말합니다.  ◈ PTSD의 주요 원인극심한 스트레스와 충격을 받은 이후 뇌가 그 경험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서" 생기는 상태이며 사람마다 경험을 받아들이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사건을 겪어도 어떤 사람은 PTSD가 생기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직접적인 외상 경험 (가장 흔한 원인)- 전쟁, 테러, 총기 사건 - 강간, 성폭력, 가정폭력 - 심각한 사고 (자동차, 추락 등) - 자연재..

[정신건강] 조현병 (Schizophrenia)

조현병이란? (현실과의 괴리가 커지는 심각한 정신질환)현실과의 경계가 흐려지는 정신질환으로, 사고(생각), 감정, 지각, 행동 등에 혼란이 생기는 병입니다. 주로 청소년기~20대 초반에 발병하며 만성적으로 지속되지만 치료와 관리로 충분히 호전 가능 합니다. - 세계 인구의 약 1% 정도가 경험  ◈ 조현병의 주요 증상1. 양성 증상 (비정상적으로 생긴 증상) ▶ 현실에 없는 것을 느끼거나 믿는 증상 망상: 현실과 다른 비현실적인 믿음 환청: 존재하지 않는 소리를 들음 이상한 언행: 말이 두서없거나 행동이 특이함 2. 음성 증상 (정상적인 기능이 사라진 증상) ▶ 감정 표현이나 사회적 기능이 줄어드는 증상 무감동: 기쁨이나 슬픔 표현이 줄어듦 무의욕: 일상생활을 스스로 하려는 의욕이 없음 사회적 철회: 사..

결핵이란?

결핵(Tuberculosis, TB)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감염성 질환입니다, 주로 폐에 생기지만, 뇌, 척추, 신장 등 전신 장기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 결핵의 원인 1. 직접적인 원인: 결핵균 감염 원인균 : Mycobacterium tuberculosis (결핵균) 주로 폐에 감염되지만, 전신 어디든 침투할 수 있습니다. 감염된 사람의 기침, 재채기, 대화 등을 통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고 전염성 강하지만, 감염됐다고 무조건 발병하는 건 아닙니다.2. 결핵 발병의 촉진 요인 (면역력 약화가 핵심) ▶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 발병 가능성 증가 감염은 됐지만, 몸이 건강하면 "잠복결핵" 상태로 머무르다가 면역이 약해지면 활성결핵으로 전환..